진주시 제2선거구

덤프버전 : (♥ 0)

||
파일:진주시_제2선거구8.png
선거인 수65,869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진주시 일부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도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박성도 (초선)




1. 개요[편집]


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진주시의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.

택지지구가 있는 평거동판문동에서 그나마 국민의힘 지지세가 약한 편이며, 나머지 지역은 국민의힘이 압도적인 지지세를 보인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진주시 제2,6선거구
제5대이인상
무소속
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1]
최순권
ta-hash-start=w-a65a51fa1f2f7143532f95b84b8aa55d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[2]
진주시 제2선거구
제6대이인상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3]
진주시 제3선거구
제7대최진덕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[4]
진주시 제2선거구
제8대최진덕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08년 1월 16일[5][6]
윤용근
무소속

2008년 6월 5일 ~ 2010년 6월 30일
제9대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0년 7월 1일 ~ 2012년 1월 18일[7]
정인태
ta-hash-start=w-8ee0dd3abb823f07430d1f5bd7b511eb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2년 4월 12일 ~ 2014년 4월 21일
제10대최진덕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
제11대성연석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
제12대박성도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남성동, 봉곡동, 상봉동동, 상봉서동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심의용(沈義用)17,6652위

ta-hash-start=w-1afb6bd07195e9f753b0d55805b5a246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39.92%낙선
2이인상(李仁祥)26,5861위

무소속

60.07%당선
선거인 수61,968투표율
74.44%
투표 수46,131
무효표 수1,880

진주시 제6선거구
내동면, 집현면, 미천면, 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최순권(崔淳權)6,5201위

ta-hash-start=w-78f4bf0f398218e66e98998b459897ab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5.31%당선
2원백식(元百植)5,0362위

무소속

35.00%낙선
3임용도(林鎔道)2,8323위

무소속

19.68%낙선
선거인 수17,982투표율
84.65%
투표 수15,222
무효표 수834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성지동, 봉안동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인상(李仁祥)19,948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50.82%당선
4최진덕(崔震德)19,3022위

무소속

49.17%낙선
선거인 수64,114투표율
63.37%
투표 수40,634
무효표 수1,384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3선거구
대곡면, 집현면, 미천면, 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상봉동동, 상봉서동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최진덕(崔震德)33,801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70.34%당선
3공영윤(孔泳允)14,2502위
29.65%낙선
선거인 수83,360투표율
59.62%
투표 수49,705
무효표 수1,654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최진덕(崔震德)-1위
-무투표 당선

2.5. 2008년 상반기 재보궐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이연근(李然根)3,8642위
22.57%낙선
4노지현3,0353위
17.73%낙선
7강주열(姜周烈)2,6864위
15.69%낙선
8윤용근(尹庸根)7,5291위
43.99%당선
선거인 수?투표율
28.93%
투표 수?
무효표 수?

2.6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윤용근(尹庸根)23,3291위
62.03%당선
7성연석(成年碩)14,2792위
37.96%낙선
선거인 수59,463투표율
64.88%
투표 수38,585
무효표 수977

2.7.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정인태(鄭仁太)13,6671위
35.77%당선
3김상학(金相學)6,0974위
15.94%낙선
6백인신(白寅湜)7775위
2.03%낙선
7성연석(成年碩)8,2733위
21.65%낙선
8구자경(具滋卿)9,3912위
24.58%낙선
선거인 수61,713투표율
63.11%
투표 수38,952
무효표 수753

2.8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최진덕(崔震德)21,9581위
56.48%당선
4박희성(朴熙成)6,8873위
17.71%낙선
5강석중(姜石中)10,0302위
25.80%낙선
선거인 수64,118투표율
61.88%
투표 수40,267
무효표 수1,392

2.9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1선거구
문산읍, 내동면, 정촌면, 금곡면, 천전동, 성북동, 가호동, 충무공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성연석(成年碩)19,7541위
42.13%당선
2정인태(鄭仁太)15,9582위
34.03%낙선
3정연해(鄭然海)2,9894위
6.37%낙선
6최진덕(崔震德)7,3843위
15.74%낙선
7백미희(白美姬)7985위
1.80%낙선
선거인 수69,339투표율
69.12%
투표 수47,930
무효표 수1,047

2.10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진주시 제2선거구
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준부(李準富)9,9212위
28.24%당선
2박성도(朴成道)23,2621위
66.23%당선
4이정옥(李汀沃)1,9363위
5.51%낙선
선거인 수65,869투표율
54.29%
투표 수35,762
무효표 수643
더불어민주당에서는 성연석 도의원이 22대 총선을 출마하기 위해서 불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. 서은애 시의원을 단수공천하였지만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120만원을 선고받자 공천을 취소하였다. 재공모한 결과 이준부 법무부 범죄예방위원 진주협의회 위원이 출마하게 되었다.

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에서 3선 시의원을 지낸 박성도 전 시의회 의장, 저번 지선에 이 지역에 출마했다 낙선한 정인태 전 도의원이 경선을 치러 박성도 후보가 승리하였다.

군소 정당인 녹색당에서도 후보를 냈다. 이정옥 경남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이 출마한다.

선거 결과 국민의힘 박성도 후보가 66%를 득표하며 압도적으로 승리하였다. 그조차도 박성도 후보가 인구 지분이 높은 택지지구가 있는 곳들인 판문동에서 61.1%, 평거동에서 63.5%를 받아서 그 정도지 나머지 지역에서는 70%를 넘었다. 원도심 지역들인 이현동에서 70.3%, 신안동에서 71.8%를 받아 70% 초반대의 득표율을 올렸으며, 면 지역에서는 명석면 77.7%, 수곡면에서 78.1%, 대평면에서 82.6%를 받아 서부 경남 농촌 지역의 위엄을 보여주었다.


[1] 진주시 제2선거구 (남성동, 봉곡동, 상봉동동, 상봉서동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)[2] 진주시 제6선거구 (내동면, 집현면, 미천면, 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)[3] 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성지동, 봉안동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[4] 대곡면, 집현면, 미천면, 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상봉동동, 상봉서동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[5] 18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[6] 명석면, 대평면, 수곡면, 평거동, 신안동, 이현동, 판문동[7] 19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